-
post op: 합병증: stroke, MI, deliriumOS pre, post op 2023. 12. 13. 13:41
⑤ 뇌졸중 (stroke)
허혈성뇌졸중 = ischemic stroke
수술 후 앞서 언급한 혈전이 혈관을 막으면 색전이라 하는데
막은 혈관이 뇌혈관이라면 허혈성뇌졸중이 생긴다. (이 외에 죽상경화증, 심부전으로 심장혈전 등 원인 다양)
뇌혈관이 폐색되었기 때문에 뇌로 혈류가 원활히 공급될 수 없어 줄어들고,
결국 뇌조직 괴사를 초래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 나타난 경우 거의 그 혈관의 50%는 막혔다고 본다.)
대부분은 내경동맥이 막힌다. 증상은 어떤 혈관이 막히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겠다. 아래사진참조
허혈성뇌졸중은 - 뇌경색과 일과성허혈성발작으로 나뉜다.
·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은 심한 괴사로 회복안되는 비가역적인 경우를 말한다.
· 일과성허혈성발작, transient ischemic attack은 문제가 생겼던 뇌기능이, 치료받아 24hr내 회복되는 경우다. 괴사X
증상: 어눌한 말투, 실어증(
유창하거나조리있지 못한 대화 aphasia), 편측마비(한쪽 손이나 한쪽 다리에 힘이 빠짐), 시야이상 등FAST : Face안면마비 Arm팔/다리근력저하 Speech구음장애 Time응급처치
이-웃, 손, 발(음), 시선 → 의심 시 빠르게 CT를 찍어야함. 이를 위해 팔에 18~20G line잡고 금식교육.
CT가 빨라 주로 진단,검사 위해 진행되는데, 혹은 MRI를 찍을수도 있음.
막힌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고 출혈성 뇌졸중과 감별한다.
혈액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다.
뇌졸중의 원인인 적혈구증가, 고지혈증(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 혈액응고장애, 당뇨 · · · 파악할 수 있기 때문.
정상수치
LDL: 0~130mg/dL (190이상시 매우높음)
HDL: 60~1000mg/dL (40이하시 낮음)
T chol (총콜레스테롤): 130~200mg/dL (240이상시 경계치를 넘어 높음)
TG (중성지방): 150 ⬇ (500이상시 매우높음)
→ 뇌졸중이 진단되고나면 혈전용해제나 혈전제거술로 막힌 뇌혈관을 뚫어준다.
⑥ MI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
수술 후 혈전이 심장의 관상동맥을 막게되면, 심혈류감소로 심조직이 괴사하게 되는 것이다.
- 협심증: 관상동맥이 어느정도 막힌 것. 심근손상X. 증상 ~3분 (AP, angina pectoris)
- 심근경색: 관상동맥이 꽉 완전히 막힌 것. 심근손상O. 증상 ~30분
MI 증상: 왼가슴 쥐어짜고 칼로 찌르는 흉통, 윗배통증, 가슴답답 압박감,
소화안 되는 답답, 목이나 팔 방사통소화불량으로 오인하기쉽다. 흉통은 없는지.
협심증 증상: 가슴답답, 목 답답, 흉통, 팔 저림, 찌릿찌릿 · · · 비슷해서 감별위해 nitroglycerin.
→ vital, spo2 check! EKG monitor 부착
→ 심전도, cardiac enzyme(심장효소검사), Nitroglycerin
- ekg monitor 부착위치 등 공부필요
- 심장효소검사가 뭐지? 혈액검사이긴 한데, 채혈은 어떤 튜브로 어떻게? 공부필요
💊Nitroglycerin
혈관확장제. 설하(= SL, sublingural, hypoglossal). 효과가 수분이내로 빠름
먹어도 통증이 완화가 안 된다면 심근경색임! 먹어서 괜찮아지면 협심증임.
→ 경우에 따라 CAG(관상동맥조영술, Coronary angiography), CAG 결과보고 PCI(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할 수도 있음
PCI: 관상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해 막힌 걸 뚫어주는 시술이다.
⑦ 섬망 (Delirium)
전신마취로 수술한 경우 기존 치매를 앓고있거나, 고령인 환자에게 호발됨
상태호전시 자연스럽게 완화된다.
증상: 헛소리,
지남력상실, 환각, 과격해짐, 밤에 쌩쌩하며 잠을 안 자기도함지남력이란?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인지.
환자분 저 누구에요? 여기 어디에요? 오늘 며칠이에요? 등 질문
→ 수시로 지남력 제공, 투약, 밤에 수면등 켜기, 필요시 억제대
💊 쿠에타핀(quetiapine)
PO
💉 할로페리돌(haloperidol)
IM
- 억제대
과격행동(욕, line self remove-주삿바늘, 소변줄, 배액관 · · ·)으로 위험할 시 적용.
종류도 다양함 ex) 팔, 손목, 장갑 등
담당의가 보호자에 설명 후 동의서. 처방(필요이유, 억제 부위 언급)
→ 적용 후 2hr마다 적용부위 피부, 순환, 억제 지속할건지를 사정
'OS pre, post 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C (0) 2023.12.14 dressing: 제품 (2) 2023.12.14 post op: 응고 합병증: DVT, PTE, DIC (2) 2023.12.12 post op: 호흡기 합병증: 무기폐, 폐렴 (0) 2023.12.12 post op: 자세 (0)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