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독제: H2O2, chlorhexidine, 포비돈(베타딘)OS pre, post op 2023. 12. 15. 11:21
① H2O2 (과산화수소수, Hydrogen peroxide)
상처부위 가볍게 닦는 용도
투명. 보통 약 3% 희석액을 소독액으로 사용한다.
살균효과 약함
소독시 거품생김
: 소독시 상처에서는 catalase(과산화수소분해효소. 혈액, 고름에 존재)가 생겨, O2원자 하나가 빠진 활성산소가 된다. 활성산소의 살균효과로 거품이 생기는 원리.
즉 상처가 아닌 곳(일반 피부나 핀셋, 시져, 니들 등 각종 기구)에 사용하면 거품이 나지않고, 그런 곳엔 궁극적으로 살균하는 의미가 없다.
투명하다. 그냥 통이 빨간거다. 2.5~3.5%
② Chlorhexidine (클로르헥시딘)
수술 후 상처, C-line 소독, C-line 수액세트 교환, 혈액배양검사 시 피부와 bottle소독 등
하늘색이나 분홍색. 에탄올이 72% 섞인 2% 희석액을 사용한다.
소독 효과가 길게 유지됨, 독성낮음
· 헥시타놀 2%, 헥사메딘, 알파헥시딘 5%
클로르헥시딘 2%, 이소프로판올 70%로 이루어짐. 클로르헥시딘 볼 헥사메딘. 주로 가글할 때 구강소독으로 쓰는듯 질병관리본부 가이드라인
③ 포비돈 (Povidone iodine = Betadine)
수술 후 상처소독, 단순/유치도뇨관 삽입시 소독 등
빨간약. 갈색노랑빛
베타딘이 포비돈임. 10%
효과신속, 6~8hr 가량 오래유지
마르면서 살균작용을 하기에 충분히 말리고 처치
: 포비돈요오드용액의 요오드가 미생물의 세포막단백질을 파괴시키며 살균효과 작용함.
베타딘 볼
④ 알코올 (= 에탄올)
주사 전 후 피부소독
건조, 탈수 과정에서 소독작용됨
빠른 휘발성
: 수술 후 상처에는X 개방된 상처에 닿을시 통증이 심하기 때문
건조되면서 미생물 단백질응고, 세포벽과 막을 파괴, 변형시켜 소독효과. 멸균까지는 안 됨
'OS pre, post 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ture material: 봉합사 종류 (11) 2023.12.17 VAC (0) 2023.12.14 dressing: 제품 (2) 2023.12.14 post op: 합병증: stroke, MI, delirium (2) 2023.12.13 post op: 응고 합병증: DVT, PTE, DIC (2) 2023.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