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uture material: 봉합사 종류OS pre, post op 2023. 12. 17. 19:17
수술 후 suture(봉합)시 사용하는 도구들에 대하여 - 실(봉합사), 바늘 실은 흡수여부(녹느냐/안 녹느냐)로 크게 나뉘며, 그 외 소재(천연natural/합성 synthetic), 실 모양(단일섬유 monofilament / 다중섬유 multifilament) 등 다름 · 비흡수성 봉합사(non-absorbable, non-resorbable) : silk, Nylon, polyamide, polyester, polypropylene(폴리프로필렌), polybutester, stainless steel 등 강력한 지지력, 장기간 봉합가능(최소 60일동안 강도유지가능해), 이물질이기에 상처가 완전히 치유되기 전 stitch out해야한다. · 흡수성 봉합사(adsorbable, resorbable) ..
-
소독제: H2O2, chlorhexidine, 포비돈(베타딘)OS pre, post op 2023. 12. 15. 11:21
① H2O2 (과산화수소수, Hydrogen peroxide) 상처부위 가볍게 닦는 용도 투명. 보통 약 3% 희석액을 소독액으로 사용한다. 살균효과 약함 소독시 거품생김 : 소독시 상처에서는 catalase(과산화수소분해효소. 혈액, 고름에 존재)가 생겨, O2원자 하나가 빠진 활성산소가 된다. 활성산소의 살균효과로 거품이 생기는 원리. 즉 상처가 아닌 곳(일반 피부나 핀셋, 시져, 니들 등 각종 기구)에 사용하면 거품이 나지않고, 그런 곳엔 궁극적으로 살균하는 의미가 없다. ② Chlorhexidine (클로르헥시딘) 수술 후 상처, C-line 소독, C-line 수액세트 교환, 혈액배양검사 시 피부와 bottle소독 등 하늘색이나 분홍색. 에탄올이 72% 섞인 2% 희석액을 사용한다. 소독 효과가..
-
VACOS pre, post op 2023. 12. 14. 21:01
VAC (Vaccum assistes closure, 백, 배큠) = 음압치료 (NPWT,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hy) ex) CURA-VAC 큐라박, Curasys 큐라시스, Pico 주로 감염성, 개방성 상처에 사용함 상처를 밀폐하고, 압력이 가해지는 기계를 연결해 균과 삼출물을 빨아들인다. (배액물 제거와 동시에 주위 혈관 자극해 혈류량증가로 빠른 조직형성과 회복, 상처크기 감소에 도움이 되겠다) 기계의 배액관에 있는 흡착제가 삼출물들을 고체로 만든다. ① CURA-VAC - 적용 방법 전용스펀지 까만폼을 상처에 맞춰 멸균가위로 잘라 넣는다. (상처보다 크지않게) 그 위 흡입head와 폼을 film dressing으로 고정하고, 기계와 상처를 tube로 연결하고, 적..
-
dressing: 제품OS pre, post op 2023. 12. 14. 18:35
dressing을 왜 해? 상처가 있기때문에 상처를 보호, 습윤하게 유지(습윤해야 wbc, 대식세포 등 치유인자들이 원활히 활동함), 상처지지(immobilization), 상처로부터의 배액과 괴사부스러기조직 흡수, 압력가해 지혈촉진 등의 이유로 진행함. dressing 종류는 다양하다. 수술 후 각 수술부위 상태마다 효과적인 dressing을 사용한다. 의학용어로 줄여서 Dx ① gauze dressing (건조 / 습윤) 1. 건조 op site 소독 후 마른 거즈를 부착한다. 가장 기본적이며 많이 사용한다. 외부로부터 상처보호, 적은 삼출물 흡수목적 쉽게 건조해지는 단점이 있다. 감염에 취약하기도 하다. 삼출물로 인해 육아조직이랑 거즈랑 쉽게 붙어버려서, 거즈 뗄 때 통증있어 주의 → 거즈에 N/S..
-
post op: 합병증: stroke, MI, deliriumOS pre, post op 2023. 12. 13. 13:41
⑤ 뇌졸중 (stroke) 허혈성뇌졸중 = ischemic stroke 수술 후 앞서 언급한 혈전이 혈관을 막으면 색전이라 하는데 막은 혈관이 뇌혈관이라면 허혈성뇌졸중이 생긴다. (이 외에 죽상경화증, 심부전으로 심장혈전 등 원인 다양) 뇌혈관이 폐색되었기 때문에 뇌로 혈류가 원활히 공급될 수 없어 줄어들고, 결국 뇌조직 괴사를 초래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 나타난 경우 거의 그 혈관의 50%는 막혔다고 본다.) 대부분은 내경동맥이 막힌다. 증상은 어떤 혈관이 막히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겠다. 아래사진참조 허혈성뇌졸중은 - 뇌경색과 일과성허혈성발작으로 나뉜다. ·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은 심한 괴사로 회복안되는 비가역적인 경우를 말한다. · 일과성허혈성발작, transient ..
-
post op: 응고 합병증: DVT, PTE, DICOS pre, post op 2023. 12. 12. 23:09
응고장애의 공통적인 예방법은 수술 후 탄력스타킹 착용, IPC 적용이다. post op 카테고리를 참조바란다(추후 보완 예정). ② DVT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증) DVT란, 깊이 위치하고 있는 정맥, 즉 심부-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혈전이란? 피떡. 피가 뭉쳐 혈관에 끼게되는 피덩어리이다. = Blood clot, thrombosis 주로 깊은 정맥이 있는 대퇴, 종아리의 하지에 호발한다. 원인은 부동이다. 그렇기에 움직임이 어려운 수술 후 상태와 관련이 밀접해지는 것이다. 증상: 다리가 부음(하지부종), 만지거나 누를 시 통증, 하지열감(warm to touch), 정맥류, 변색(갈색) → D-dimer, 초음파검사, CT로 진단하게 됨 · D-dimer와..
-
post op: 호흡기 합병증: 무기폐, 폐렴OS pre, post op 2023. 12. 12. 14:03
① 호흡기 합병증: 무기폐(atelectasis), 폐렴(pneumonia) 전신마취 후 심호흡, 기침을 격려한다. 그러나 제대로 시행하지 못할 경우. 배출되지 못하는 분비물(secretion)들로 기관지가 좁아지고, 호흡이 곤란해져 공기가 부족해지게 되면, 폐포가 충분히 부풀지 못해 폐포가 쪼그라들게 된다. = 무기폐 무기폐 상황에서 상기도 세균에 감염되거나 구토가 흡인되면 = 폐렴, 흡인성 폐렴 증상: 고체온(ex: 38도), 객담(화농성), 호흡곤란, 흉통, spo2 저하, 백혈구증가/감소 · · → chest x-ray, 객담배양검사(sputum culture),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혈청검사, 소변항원검사, 혈액검사 후 맞는 균에 따른 항생제 투여 혈액배양검사는 왜 하는거지?..
-
post op: 자세OS pre, post op 2023. 12. 11. 10:22
수술 후 어떤 자세를 취해야할까? 어떤 자세는 취하면 안 될까? 조기보행이 좋다는데, 모든 환자가 해당할까? ∵ 수술별로, 마취별로 다르다. (추후 OS 질환과 수술을 공부하면서 더 추가하겠다. 자세한 사항은 수술별카테고리에 추가예정. 여기는 수술 직후의 자세위주) · 척추유합술(spondylosyndesis, spinal fusion, 척추고정술) 보조기 착용 전 까지는 침상안정 유지 척추압박골절로 인해 신경이 손상되거나, 압박이 심할 때, 핀이나 나사못으로 척추를 고정하는 수술 · 고관절인공치환술 (THA, Total hip arthroplasty) 다리를 약간 벌린 외전상태 유지하기, 꼬거나 쭈그려앉기 금지 탈구예방중요, 내회전되지 않게. ex) 다리 사이 베개장착 · 척추마취 처방에 따라 수술 후..